수탁연구
수탁연구
관세 및 HS 관련 연구, 수출입 통관제도 연구, 수출입 동향 분석 및 관세·무역에 관한 정책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급변하는 무역환경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안정화 지원을 위한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02-3416-5162
02-3416-5180
수탁연구 주요 연구분야
표를 좌우로 밀어 보세요.
직급 | 이름 | 연구분야 | 연락처 | 이메일 |
---|---|---|---|---|
실장 | 김희수 | 무역통계, 관세행정연구 | ||
선임연구위원 | 하정주 | HSK, 무역통상 | ||
선임연구위원 | 이주영 | 무역, 국제통상, 무역상무 | ||
부연구위원 | 심민정 | 무역통상, 관세법, 국제경제법 | ||
부연구위원 | 정성윤 | 경제학, FTA 통상, HS Code 품목분류 연구 | ||
부연구위원 | 김영미 | 품목분류 및 관세통상, 무역학 | ||
선임연구원 | 손명희 | 품목분류, 관세평가, 무역통계 | ||
주임 연구원 | 김성윤 | 국제통상 |
연구진 소개
김 희 수
연구/전공분야 | 무역통계, 관세행정연구 |
---|---|
학력/경력 | 동국대 통계학 박사 2021~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관세행정연구실장 2007.11~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선임연구위원 2006.8~2007.1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2005.12~2006.7 일본 Tottori 국립대학 사회개발시스템공학과 연구교수 2000.3~2004.12 나사렛대학교 정보공학부 겸임교수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유해화학물질 통관확인업무 개선방안 연구(4차) ,2020. 8. 환경부 안전관리대상제품과 HSK 일치화 방안 연구, 2020. 4. 국가기술표준원 2020년 관세평가 및 품목분류 연구기반 확충 용역 위탁사업. 2020. 3. 관세평가분류원 EU집행위와의 무역정보 교환을 위한 무역정보 가공 , 2019. 9. 한국무역협회 공공데이터 개방범위와 개인정보 등 비공개정보 비식별화 방안연구. 2019. 7. 관세청 . 문신용 염료 등 수입통관 관리방안 연구, 2019. 5. 식품의약품안전처 유해화학물질의 통관확인 업무 개선방안 연구(3차), 2019. 1. 환경부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품 통관확인업무 개선방안연구. 2018. 07. 환경부 IoT기반 실시간 보세운송 관리체제 구축방안, 2017. 05. 관세청 유해화학물질의 HSK 개정안 연구용역(2차), 2017. 04, 환경부 HFCs(수소불화탄소)의 HSK 개정안 연구, 2017. 03 , 한국환경공단 수입위생용품 통관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7. 02, 보건복지부 위생용품 신규품목 수입통관확인업무 개선방안 연구, 2016. 12 식품의약품안전처 외국 관세행정의 정부조직과 직무범위에 관한 연구(2차), 2016. 11, 관세청 사제폭발물 제조가능 화학물질 통관 및 유통관리 방안연구. 2016. 05, 환경부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 제4라운드 양허안 국문본 제작. 2016. 02 , 기획재정부 유해화학물질 통관확인업무 개선방안 연구(1차), 2015. 07 , 환경부 한-아세안 FTA 상품협정 개정 관련 양허표 번역 , 2015. 06 , 산업통상자원부 통관규제 개혁방안 마련을 위한 전략연구,2014. 05 , 관세청 AEO 상호인증 경제적 효과분석, 2012. 09 WCO 임가공산업 관세지원 개선방안 연구, 2012. 11, 관세청 전자부품 수입동향 연구, 2012. 12,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아세안 FTA 상대국의 상호대응세율 부과의 적정성 검토. 2012. 10, 기획재정부 2011년 소재/부품 Hot keyword 주요 품목 시장변화 분석. 2012.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외국 관세행정 조직 및 직무범위에 관한 연구(1차), 2011.10, 관세청 전자세관 도입 방안 연구, 2011.7, 관세청 통합 법규준수도 설계 컨설팅용역, 2009.5, 관세청 공급망 주체별 법규준수도(통관 및 심사분야), 2008. 9, 관리방안연구 관세청 전자부품 수출입동향분석, 2008.4,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연구논문 (KCI) 김희수, 이주영, 사제폭발물 제조가능 화학물질 수입통관 관리방안 연구, 관세학회, Vol.18 No.1. 2017 (KCI) 김희수, 마순덕, 무역공급망 법규준수 협력지수 개발, 품질경영학회, Vol.38 No.1, 2011 (KCI) 김희수, 저탄소 녹색성장 평가를 위한 '녹색교역지수' 개발 방안 연구, 관세학회, Vol.11 No.3, 2010 (SCI) H.S. Kim, Shigeru Yamada, D.H. Park, Bayesian Release Time Based on Inflection S-shaped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IEICE Transactions on Fundamentals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Computer Sciences, Volume E92.A, Issue 6, pp. 1485-1493, 2009 (SCI) H.S. Kim, Shigeru Yamada, D.H. Park, Bayesian Approach to Optimal Release Policy of Software System, IEICE Transactions on Fundamentals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Computer Sciences, Volume E88.A, Issue 12, pp. 3618-3626, 2005 (박사학위논문) A study on optimal preventive maintenance policy based on different interval Lengths, 동국대학교. 2000 |
연구진 소개
하 정 주
연구/전공분야 | HSK, 무역통상 |
---|---|
학력/경력 | 관세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학사 2008~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선임연구원 2019.8 제7회 산업통상자원부 공공데이터 활용 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 전 (우수상)-남동발전 사장 작품명 : “전략물자 HSK 정보와 빅데이 터를 활용한 집중관리대상 선별 시스템” 2019.3 제53차 납세자의 날 유공 표창-<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2018.12 품목분류 연구 공모전 (우수상)-관세청장/관세평가분류원장 * 논문명 : “수산물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HSK) ‘기타세번’분석 연구” 2012.2 <UNESCAP Trade and Investment Divsion>- Letter of Appreciation * 보고서명 : “Business Process Anaysis(BPA) of Korea” 2010.3 제44회 납세자의 날 표창- 관체청장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수입목재 합법벌채 관리 고도화 연구, 2024.11, 산림청 로봇(Robot)의 HS 품목분류 체계 개편 연구, 2024.11,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석재품목 수입관리 고도화 연구, 2024.11,한국관세무역개발원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개선방안 연구, 2023.06, 기획재정부, 광업제조업조사 품목분류 정비 연구, 2023.10 ,통계청, 국제비교 및 국제공동연구용 시료의 통관 및 검역절차 개선방안, 2023.08, 한국 표준 과학연구원 22년 생활화학제품 4개 품목의 HSK 연계표 연구, 2023.08, 한국환경산업기술원 HS 2022에 따른 FTA 원산지 결정기준 개정방안 연구, 2022.11,기획재정부 한-아세안 FTA 회원국들의 HS 2022 개정 상품 양허표 검증, 2022.11, 산업통상자원부 한미 FTA PSR 전환(HS 2022) 검토 및 개정안 마련, 2022.12, 산업통상자원부 광업제조업 품목분류 개편 정비 연구용역, 2022.10, 통계청 수출입 모니터링 강화 등을 위한 수산물 HSK 기타세번 분석, 2022.07 , 해양수 산부 한-아세안 FTA 상품 양허표 영문본 작성 등의 용역, 2022.04, 산업통상 자원부 2022 HS해설서 개정 국내 수용연구, 2021.12, 관세청 RCEP 협정관세율표 작성 및 검증, 2021.12, 기획재정부 WTO 양허표 등 작성 연구, 2021.09, 기획재정부 HS 협약 부속서 개정(2022년 HS)에 따른 관세율표 및 관세통계통합품목표(HSK) 개정안 마련 연구, 2020.08, 기획재정부, 2022 HSK 개정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2020.11, 산림청 국가 전문자격사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관세사의 공공성, 독립성, 전문성 제고방안 연구 2019.12 WTO 제출용 우리나라 CTS(통합관세율표) 작성 및 검증 , 2019.11, 기획재정부 수산물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HSK) 개선안 마련 연구, 2019.11, 해양수산부 FTA협상을 위한 직접운송원칙 쟁점 및 개선방안 연구, 2018.12 기획재정부 자유무역지역 반출입 전산처리절차 개선방안 연구 2018.11, 울산자 유무역지역관리원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APTA) 양허표 검증, 2018.07, 기획재정부 수산물 관세통계 통합품목분류(HSK) 개선 연구, 2018.03, 해양수산부 인증수출자 제도 및 원산지확인 제도 개선방안 연구, 2017.08, 기획재정부 WCO HS 2017 해설서ㆍ의견서 국내수용을 위한 연구용역, 2016.12 관세청 한-중미 FTA 품목별 원산지 결정기준(PSR) 번역, 2016.12, 산업통상자 원부 안전관리대상 제품 수출입통계산출 및 분석기반구축, 2015.12, 국가기술 표준원 감시장비 효율적 운영 및 교체적정성 분석 연구, 2015.11, 관세청 Business Process Analysis(BPA) of Trade Procedures of Republic of Korea, 2014.03 ,UNESCAP ● 연구논문 (KCI) 박홍규,하정주,김영춘, “우리나라 원산지확인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 구”-관세학회지(공동 저자 3), Vol.20 No.1, 2019.02 (공모전 우수상), 하정주, 이아이린, “수산물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HSK) ‘기타세번’ 분석 연구”- 품목분류 연구논문집 (공동 저자 2), 2018.12 (KCI) 김영춘, 박홍규, 하정주 “우리나라 인증수출자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관세학회지(공동 저자 3), Vol.19 No.2 2018.05 |
연구진 소개
이 주 영
연구/전공분야 | 무역, 국제통상, 무역상무 |
---|---|
학력/경력 | 부산대학교 무역학과, 경제학박사 2012.06. ~ 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선임연구위원 2010.09. ~ 2012.05. 부산대학교 경제통상연구소 전임연구원 2023.02. ~ 2024.12. 통계청 제7기 경제분류자문위원 2023.10. ~ 2025.09. 관세평가분류원 관세평가협의회 위원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소재·부품·장비 통계구축 및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2021 ~ 현재, 산업부 관세청 개편 수출입 신고 프로세스 활용을 위한 안전관리대상제품의 품명규격체계 표준화 기반 수입통관 안전성 향상, 2022.7, 국가기술표준원 전기추진체계분야 GVC 분석 및 R&D 협력모델 사업, 2022.9,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6대 탄소소재 분야 수출입 통계 분석, 2021. ~ 2023, 탄소수소융합산업연구조합 2023년 관세평가 및 품목분류 연구기반 확충사업 위탁운영(연구논문 판례평석 공모전) , 2023.3, 관세평가분류원 화학물질 수입·허가제도의 산업계 이행지원 교육·홍보 프로그램, 2022.4.환경부 유해화학물질의 세관장확인대상 확대방안 연구(환경부), 2022.2. 수입 의료기기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관리기준 일원화 정비방안 연구, 2022.4. / 2021.3, 식약처 보세구역 유해화학물질 노출위험성 및 건강영향 저감을 위한 안전관리방안 연구, 2021.12,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1종의 HSK 연계표 연구, 2021.10, 환경산업기술원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HSK 코드 체계분석 및 개편방안 연구, 2020.12, 산업부 2021년 수출입화물 세관검사 유형별 검사비용 및 적절한 국가예산 지원금액 산출을 위한 정책연구, 2020.2, 관세청 중국지역 진출전략 수립을 위한 교역 통계조사, 2017.2, KOTRA 성질별·신성질별 분류체계-HSK 2017 연계 연구, 2016.12, 관세청 제조업생산품목과 무역품목간 품목연계 고도화 연구, 2015.4, 통계청 ● 연구논문 (KCI) 김희수, 이주영, “사제푹발물 제조가능 화학물질 수입통관 관리방안 연구”, 「관세학회지」, 제18권 제1호, 2017 (KCI) 김영춘, 류건우, 이주영, “중소기업의 FTA 특혜활용을 위한 HS 품목분류 자가결정방법에 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1호, 2014 (KCI) 김영춘, 이주영 외2인, “중소기업의 FTA 활용 극대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5권 제1호, 2014 (KCI) 이주영 외5인 “SPS 분쟁해결에 적용 가능한 심사기준의 정립 가능성”, 「무역연구」, 제9권 제6호, 2013 (KCI) 이주영, 박원형, “유럽연합 법제상 해상보험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론집」, 제43권 제1호, 2012 (KCI) 이은섭, 이주영, “합리적 규제자 기준의 확립을 통한 무역과 위생검역조치의 조화 -US-Hormones Suspension 사건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3권 제3호, 2011 (박사학위논문) 이주영, “SPS협정 관련 무역분쟁에 적용 가능한 심사기준”, 부산대학교, 2010 (KCI) 이은섭, 이주영 “SPS협정의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EC-Biotech 사건의 패널판결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0권 제4호, 2008 (KCI) 이은섭, 이주영 “SPS협정상의 구체적 의무조항을 활용한 통상관련 환경보호조치의 적법성 확보 : GATT 제20조 예외조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환경법연구」, 제29권 3호, 2007 (KCI) 이은섭, 이주영, “SPS협정상 사전예방원칙의 적용가능성”, 「통상법률」, 통권 제76호, 2007 (석사학위논문) 이주영, “WTO 체제하에서의 사전예방원칙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7. ● 기고 이주영, “관세청 무역통계 ‘성질별 분류체계’의 활용도 증대방안 연구”, 「관세와 무역」, 통권 제494호, 2014. 이주영,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조치에 대한 일본의 WTO 제소 가능성과 통상법적 근거, 관세와 무역, 통권 제489호, 2013. |
연구진 소개
심 민 정
연구/전공분야 | 무역통상, 관세법, 국제경제법 |
---|---|
학력/경력 | 관세사/서울대학교 국제법 박사 수료 2020.09~ 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부연구위원 2021~현재 관세청 자체 평가위원 2020 상공회의소 무역 컨설팅 관세사 2018-2020 천지관세법인(서울) 관세사 2017 관세사 자격증 취득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구강관리용품 수입통관 관리방안 연구, 2022.08, 식약처 품목분류 표준교재 및 도감개정 연구, 2021.04, 관세국경관리연수원 생활화학제품 4종의 HSK 연계표 연구, 2020.12,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연구참여 석재품목의 수입 관리 강화방안 연구, 2024.11,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수입목재 합법벌채 관리 고도화 연구, 산림청, 2024.11, 산림청 수입의료기기 안전관리강화를 위한 관리기준 일원화 정비방안 연구(2차),2022.10, 식약처, 품목분류 숙달 전자게임 고도화 및 신규개발 사업 품목분야 연구 용역, 2022.08, 관세인재개발원 생활화학제품 1종에 대한 HSK 연계 연구-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1.12,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2 HS해설서 개정 국내 수용연구-관세청, 2021.12, 관세청 수입의료기기 안전관리강화를 위한 관리기준 일원화 정비방안 연구(1차), 2021.10, 식약처, 소재·부품·장비 동향조사 및 가치사슬 분석 1,2차 ,2020-2022, 산자부, 유해화학물질의 통관확인 업무 개선방안 연구, 2020.11, 환경부 안전관리대상 제품과 HSK 일치화 방안 연구, 2020.10 ,국가기술표준원 군용물자 HSK 연계표 연구, 2020.10, 방위사업청 ● 관세사 실무업무 관세인재개발원 HS 강의 강사, 2022 상공회의소 원산지 증명서 발급 컨설팅(기계부품 업계), 2020 상공회의소 원산지 인증수출자 컨설팅(철강 부품, 금속 업계),2020 수출입 프로세스 및 수출입 요건 컨설팅 (전기, 전자 업계), 2018-2020 관세환급 컨설팅 (섬유, 금속, 화학 원자재), 2018-2020 ● 연구논문 (석사학위논문), “관세환급제도의 수출보조금 판별원칙-관세조정의 WTO 보조금 협정 합치적 운용 모색”, 서울대학교, 2021 |
연구진 소개
정 성 윤
연구/전공분야 | 경제학, FTA 통상, HS Code 품목분류 연구 |
---|---|
학력/경력 | 관세사/경북대학교 경제학 석사 2021.11 ~ 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연구실 부연구위원 2020.02 ~ 2021.07 관세법인 천지인 수입팀 관세사 취득, 2019.10 경북대학교 FTA 통상학과 석사(경제학 석사), 2015.08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2023년 6대 탄소소재 분야 수출입 통계분석, 탄소수소융합산업연구조합 ● 연구참여 소재·부품·장비 통계 구축 및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2022-2026,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 개편 수출입 신고 프로세스 활용을 위한 안전관리대상제품의 품명규격체 계 표준화 기반 수입통관 안전성 향상기법 개발,2022, 관세청 전기추진체계분야 GVC 분석 및 R&D 협력모델 사업,2022,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한미 FTA PSR 전환(HS 2022) 검토 및 개정안 마련,2022, 산업통상자원부 HS 2022에 따른 FTA 원산지 결정기준 개정방안 연구,2022, 기획재정부 화학물질 수입·허가제도의 산업계 이행지원 교육·홍보 프로그램 마련 연구, ,2022, 환경부 수출입 모니터링 강화 등을 위한 수산물 HSK 기타 세번 연구,2022, 해양수산부 유해화학물질 세관장확인대상 확대방안 연구,2022, 환경부 2021년 수출입 무역통계 분류체계 등 개편 방안 연구,2021, 관세청 소재·부품·장비 동향조사 및 가치사슬 분석,2021, 산업통상자원부 ● 관세사 실무업무 전자상거래 업체, 반도체·전자기기 제조업체 등 기업 수입통관 및 수입 컨설팅, 품목분류 업무 수행 수입통관 사후관리 업무 수행(확정가격신고, 재수출이행, 사후 감면, FTA 신청 등) 수입통관물품 배송관리 업무 수행 우편물, 이사물품, ATA 까르네 등 특수통관 업무 수행 ● 연구논문 (석사학위논문) 정성윤,“TTP와 RCEP의 비교를 통한 한국의 통상정책방향” 경북대학교, 2015 |
연구진 소개
김 영 미
연구/전공분야 | 품목분류 및 관세통상, 무역학 |
---|---|
학력/경력 | 건국대학교 무역학 석사 2024.10 ~ 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부연구위원 2019.09 ~ 2023.09 관세평가분류원 품목분류 협의위원 2013.03 ~ 2023.06 하나로TNS(HTNS관세법인) 컨설팅본부 2013.11 ~ 2014.10 수원상공회의소 관세 전문위원 2011.11 ~ 2013.02 관세법인지오(구.정민관세사무소) 2011.10 제28회 관세사 자격시험 합격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참여 유해화학물질 세관장확인대상 수입물품 확대 방안 연구, 2024, 환경부 소재부품장비 통계구축 및 글로벌 가치가슬 분석, 2024, 산업통상자원부 부산본부세관 AEO 종합심사(외환·통관적법성·공인기준)대리, 2023, D사 해외 관세당국 품목분류 분쟁 및 수입규제 대응, 2022-2023, S사 대외무역법 상 원산지 국산화 관련 이슈 대응, 2022-2023, S사 한국은행 외국환신고 거래 대상 이슈 대응, 2022-2023, S사 해외법인 글로벌 HS 로직점검 및 분류논리 관리, 2015-2023, S사 품목분류사전심사 질의(세액절감 및 추징방어,협의회·위원회 참석),2013-2023,S사 전기전자 부품· 화학물질(혼합물,완제품) 수입통관 관리. 2013-2023, S사 자동차 부품· 화학물질(혼합물,완제품) 수입통관 관리, 2020-2023, H사·K사 K-딸기, 수삼 등 K-특산물 FTA 원산지 컨설팅, 2022, K사 AEO 공인기준 자체평가 컨설팅, 2021-2022, D사 철강 제조기업 수출입통관 지원 및 관세무역 자문, 2021-2022, S사 및 D사 관세청 적극행정·규제혁신 대국민공모전 최우수과제선정(과오납 환급),2021,관세청 한-아세안FTA 협정관세 적용배제에 따른 과세전적부심사 대리, 2021, D사 한-아세안 FTA 대구본부세관 원산지 검증(현지조사 포함) 대리, 2018-2021, D사 한-아세안FTA 서울본부세관 원산지 검증(서면조사) 대리, 2020, S사 인천본부세관 외국환조사 대리, 2020, H사 서울본부세관 통관적법성 기획심사 대리, 2020, D사 정기 수입세액 정산제도 확인관세사, 2017-2020, S사 종합물류기업(보세구역·포워딩·보세운송) AEO 자체평가 외부심사,2017-2020, H사 미국의 이란 제재정책에 따른 관세 통상 업무, 2019, S사 공급망 협력사 FTA 원산지 발급 및 인증수출자 컨설팅, 2019, I사 한-EU FTA 인천본부세관 원산지 검증(서면조사) 대리, 2018, S사 인천본부세관 법인심사 대리, 2017, S사 해외 신규공장 설립 관련 수출입·FTA 업무 SET-UP, 2016, S사 인천본부세관 AEO 종합심사(통관적법성) 전사 T/F 참여, 2015, S사 재수출면세 적용 불인정에 따른 과세처분에 대한 과세전적부심 대리, 2015, S사 농산물 수입 거래가격 불인정에 따른 과세처분에 대한 행정심판 대리, 2013, S사 보세공장 운영업체 외국환 사전심사, 2012,B사 전기전자 협력사 다수 수출입통관, 간이·개별환급 신청대리,2011-2012,B사 외 ● 연구논문 (공모전 대상) 김태영·김영미, “로봇과 메타버스를 통해 바라본 관세율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관세청, 2022 (공모전 최우수상) 김태영·김영미, “관세율표상 가정용품의 개념정의 및 분류기준 등의 부재와 그 필요성에 관한 연구”, 관세청, 2021 |
연구진 소개
손 명 희
연구/전공분야 | 품목분류, 관세평가 |
---|---|
학력/경력 | 관세사/경희대학교 회계세무학 학사 경희대학교, 회계세무학 학사 2023.01-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선임연구원 2021년 관세사 자격증 취득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참여 소재·부품·장비 통계 구축 및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2024.01., 산업통상자원부 수입목재 합법벌채 관리 고도화 연구 2024.04., 산림청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운영사업 관련 법규검토, 2024.03., ㈜제이엔디케이 국제통상 전문자료 분석 및 동향 모니터링, 2024.01.,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EU집행위와의 무역정보 교환을 위한 가공업무, 2023.11., 한국무역협회 물품 반출입 체계 분석 및 관세청 시스템 연계 강화, 2023.05., 통일부 광업제조업조사 품목분류 정비 연구 사업, 2023.05., 통계청 국제비교 및 국제공동연구용 시료의 통관 및 검역절차 개선방안 연구, 2023.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개선방안 연구, 2023.03., 기획재정부 KITA.net 품목별수출입요령 자료 제공, 2023.02., 한국무역협회 22년 생활화학제품 4개 품목의 HSK 연계표 연구, 2023.0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관세사 사무소 근무, 2022.04. ● 연구논문 (학술지) 장효은·손명희, “주요국 소액물품면세제도 및 통관관세화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관세무역연구 제1호,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24 |
연구진 소개
김 성 윤
연구/전공분야 | 국제통상학 전공 |
---|---|
학력/경력 | 건국대학교 국제통상학 학사 2022.01~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연구원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참여 2023년 6대 탄소소재 분야 수출입 통계 분석, 2023.08, 탄소수소융합산업연구조합 소재·부품·장비 통계구축 및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1단계 2차년도), 2023.08,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장비 통계구축 및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2단계 1차년도), 2024.01, 산업통상자원부 수입목재 합법벌채 관리 고도화 연구, 2024.04. 산림청 ● 주요업무 연구실 연구 지원 및 부서 행정업무, 2023-2024 연구실 해외 세관정보 수집 · 분석- 세관고시플랫폼 개발 및 고도화 업무, 2023-2024 인천공항특송지사 화물 관리 업무(재고파악 멸각폐기반출 업무), 2022-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