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연구
KCTDI 연구
글로벌 통상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관세, 무역, 물류 등 전반에 걸친 주요 이슈를 조사·연구·분석 하고 있으며.
특히, 관세와 무역에 관한 조사·연구를 통해 각종 동향 및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고, 수출입 물류 촉진 등 관세행정업무를 지원함으로써 국가 관세·무역정책 수립과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공익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02-3416-5186
02-3416-5180
KCTDI 연구 주요 연구분야
표를 좌우로 밀어 보세요.
직급 | 이름 | 연구분야 | 연락처 | 이메일 |
---|---|---|---|---|
실장 | 신대철 | 국제통상, 국제물류 |
02-3416-5186
|
dcshin1113@kctdi.or.kr
|
부연구위원 | 장효은 | 국제통상, 국제거래법 |
02-3416-5195
|
jhe621@kctdi.or.kr
|
부연구위원 | 이민우 | 관세, 품목분류 |
02-3416-5109
|
ghuuuu@kctdi.or.kr
|
차장 | 김유라 | 국제통상, 무역실무 |
02-3416-5166
|
rain5215@kctdi.or.kr
|
부연구위원 | 조현기 | 품목분류, FTA, 관세평가 |
02-3416-5168
|
chg90@kctdi.or.kr
|
부연구위원 | 정대환 | 국제물류, 해운항만 |
02-3416-5167
|
dhjeong3836@kctdi.or.kr
|
부연구위원 | 박슬기 | 국제통상, 기후통상, 무역협정 |
02-3416-5192
|
sk0106@kctdi.or.kr
|
연구진 소개
신 대 철
연구/전공분야 | 국제통상, 국제물류 |
---|---|
학력/경력 | 명지대학교 경영학 박사 명지대학교, 경영학박사, 2013 2008~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2023년 FTA 해외정보조사 사업, 202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3년 농기자재 품목별 HSK 및 관세율 업데이트 해외정보 조사 과업, 202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국제우편물 통관검사센터 구축 방안 연구, 2023, 관세청 국제통상지원을 위한 전문매체 번역 및 모니터링, 202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2 농림축산분야 탄소중립 선진사례 조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FTA협상 지원시스템 데이터 변경에 따른 데이터 분석 및 서식 마련 연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HS코드설명서 업데이트 및 관세율 조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2년 농식품 해외정보 서비스 제공 장기모니터링보고서,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축산분야 탄소중립 선진사례 조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FTA협상 지원시스템 데이터 변경에 따른 데이터 분석 및 서식 마련 연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2년 관세평가 및 품목분류 연구기반 확충 용역 위탁사업, 2022, 관세평가분류원 글로벌 물류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국제물류주선업 전문성 제고방안 연구, 2021, 한국국제물류협회 FTA 해외정보 및 관세율 조사분석 사업, 2021,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수출입 무역통계 분류체계 개편방안 연구, 2021, 관세청 농식품 해외정보 공유서비스 정보조사 및 시스템 운영관리, 2021,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2년 관세율 조사 및 HS코드 추적연계,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소재·부품·장비 통계 푸목 연계 고도화, 2021, 기계산업진흥회 변화된 물류흐름에 맞는 컨테이너화물 부두직통관제도 발전방안 연구, 2019, 부산세관 해상특송물류센터 자동화설비 구축에 대한 연구, 2019, 관세청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 외부위탁운영 사용자만족도 조사, 2018, 국종망연합회 한-중미 및 콜롬비아 FTA TBT 협정 이행 및 활용 활성화 방안연구, 2018, 국가기술표준원 해외 소재부품 무역통계 연계 고도화, 2017,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GCC FTA TBT 협상 대응방안 연구, 2017, 국가기술표준원 신 무역통계 개발을 위한 무역통계와 산업데이터의 연계방안 연구, 2017, 관세청 ● 연구논문 (KCI) 권영민·신대철, “NAFTA와 미국의 자동차 산업내무역”, 무역학회지 제40권 5호, 한국무역학회, 2015 (KCI) 신대철·권영민, “AEO 상호인정협정의 무역원활화 효과 분석”, 관세학회지 제16권 2호, 한국관세학회, 2015 (KCI) 신대철, “EU 비관세조치의 무역제한효과 - 관세상당치를 통한 추정”, 국제통상연구 제19권 4호, 한국국제통상학회, 2014 (박사학위논문) 신대철, “관세상당치 추정을 통한 EU 비관세조치의 무역제한효과 분석”, 명지대학교, 2013 |
연구진 소개
장 효 은
연구/전공분야 | 국제통상, 국제거래법 |
---|---|
학력/경력 | 고려대학교, 법학박사, 2021.02 2021.07-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부연구위원 2020.03. - 2021.07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해상법연구센터 전임연구원 2020.02. - 2021..07.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해운조선물류수산 최고위과정 담당 2015.01. - 2015.02. 한국무역보험공사 인턴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운영사업 관련 법규검토, 2024, ㈜제이엔디케이 국제통상 전문자료 분석 및 동향 모니터링, 2024,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연구참여 수입목재 합법벌채 관리 고도화 연구, 2024, 산림청 2023년 FTA 해외정보조사 사업, 202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3년 농기자재 품목별 HSK 및 관세율 업데이트 해외정보 조사 과업, 202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국제우편물 통관검사센터 구축 방안 연구, 2023, 관세청 국제통상지원을 위한 전문매체 번역 및 모니터링, 202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2 농림축산분야 탄소중립 선진사례 조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FTA협상 지원시스템 데이터 변경에 따른 데이터 분석 및 서식 마련 연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보세구역 유해화학물질 노출위험성 및 건강영향 저감을 위한 안전관리방안 연구용역, 2022, 환경부 2021 농식품 해외정보 공유 서비스 정보조사 및 시스템 운영관리, 2021,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글로벌 물류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국제물류주선업 전문성 제고방안 연구, 2021, 한국국제물류협회 서울 평화통일 문화유산 발굴 및 활용방안 수립 용역, 2021, 서울특별시의회 해운시장 질서확립을 위한 관련 제도마련 연구, 2021, 해양수산부 서산 대산항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타당성 연구용역, 2020, 서산시청 선박안전법상 선박검사제도 입법개선에 관한 연구, 2020, (사)한국선급 선박의 복원성과 종강도의 차이점 및 선박안전법상 신고의무, 2020,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도선사 민사책임제한에 관한 일본 사례 등 연구, 2020, 한국도선사협회 해상법의 기본적 쟁점에 관한 연구(8차), 2019, 김.장 법률사무소 해상법의 기본적 쟁점에 관한 연구(7차), 2018, 김.장 법률사무소 해상법의 기본적 쟁점에 관한 연구(6차), 2018, 김.장 법률사무소 한진해운 사태 백서 작성연구용역, 2017, ㈜흥해 2017년 해상법 판례 연구, 2018, 고려대학교 미나마타 협약 이행을 위한 유럽연합(EU)의 「수은에 관한 규칙」 입법안에 대한 고찰, 2016, 한국연구재단 ● 연구논문 (SCOPUS) Hyoeun Jang, “KOREA and the CISG :Recent Cases”, GLOBAL TRADE AND CUSTOMS JOURNAL vol.18,, Wolters Kluwer, 2023. (KCI) 장효은, ”CISG에서 매수인의 물품보관의무에 대한 주요 쟁점 고찰:주요 CLOUT Case 분석을 중심으로 “, 무역상무연구 제95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22. (KCI) 장효은, ”해상무역에서 서렌더 선하증권(surrender B/L)의 역할 및 주요 쟁점사항에 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91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21. (KCI) 장효은, “CISG가 적용되는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인도지연과 본질적 계약위반에 대한 연구”, 무역보험연구 제22권 제4호, 한국무역보험금육학회, 2021. (KCI) 장효은, “BBCHP(국적취득조건부선체용선계약) 방식 선박도입의 관세법상 수입 해당 여부에 대한 판결분석과 시사점”, 관세학회지 제22권 제3호, 한국관세학회, 2021. (박사학위논문) 장효은, “무역거래에서 선하증권과 화물의 불일치에 따른 구제에 대한 연구-신용장거래에서 선하증권의 부지문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21. (KCI) 장효은, “신용장통일규칙(UCP 600)에서 해상운송서류 조항에 대한 고찰”, 홍익법학 제21권 제3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KCI) 장효은, “국제운송에서 해상운송인 보호제도에 대한 법적고찰”, 동북아법연구 제14권 제2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0. (KCI) 장효은, “해외직접투자의 법원(法源)과 투자자·국가분쟁해결(ISDS)에 대한 고찰”, 강원법학 제57집,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9. (KCI) 장효은, “해상무역 및 해운업 활성화를 위한 편의치적제도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제58집,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석사학위논문) 장효은, “해상운송을 포함하는 국제물품매매에서 위험의 이전에 대한 고찰 : Incotemrs 2010과 CISG의 규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8. |
연구진 소개
이 민 우
연구/전공분야 | 관세/품목분류 |
---|---|
학력/경력 | 관세사/ 경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경영학과) 학사 2022.07~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연구실 2016~2022.06 천지관세법인(인천) 2014 관세사 합격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참여 농림축산교육문화정보원-HS도감 업데이트 및 관세율 조사. 2022 한국무역협회-EU집행위와의 무역정보 교환을 위한 무역정보 가공 용역. 2022~2024 한국무역협회-KITA.NET 품목별 수출입요령 자료. 2022 국가기술표준원-관세청 개편 수출입 신고 프로세스 활용을 위한 안전관리대상 제품의 품명‧규격체계 표준화 기반 수입통관 안전성 향상기법 개발. 2022 기획재정부-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개선방안 연구. 2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국제비교 및 국제공동연구용 시료의 통관 및 검역절차 개선방안 연구. 2023 한국환경산업기술원-22년 생활화학제품 4개 품목의 HSK 연계표 연구. 2023 통일부-물품 반출입 체계 분석 및 관세청 시스템 연계 강화 방안. 2023 (주)제이앤디케이-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운영사업 관련 연구 용역. 2024 한국관세무역개발원-로봇 HS 품목분류 체계 개편 연구. 2024 한국관세무역개발원-제16부(제84류, 제85류) HS 체계 개편 연구. 2024 ● 관세사 실무경력 외국계 L사 등 수출입통관 및 리스크 관리 국내 I사 등 관세 심사 대리 국내 L사 등 원산지 및 FTA 인증 수출자 컨설팅 다수 그 외 관세 환급 컨설팅 및 품목분류 컨설팅 다수 |
연구진 소개
김 유 라
연구/전공분야 | 국제통상 |
---|---|
학력/경력 | 원광대학교 국제통상 학사 원광대학교, 국제통상학사, 2012.02 2012.01 - 2015.03 세경합동관세사무소 과장 2015.04 - 2016.06 한국관세무역개발원 김포지사 보세창고 및 화물관리 2016.07 - 2019.10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인천공항지사 보세창고 및 화물관리 2019.11 - 2020.04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인천지사 보세창고 및 화물관리 2020.05 - 2021.01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물류지원실 고객지원 및 관세청 전자봉인 관리 2021.02 - 2021.12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인천공항지사 보세창고 및 화물관리 2022.01 - 2022.07 한국관세무역개발원 경영지원실 부속실 2022.08 - 2024.07 한국관세무역개발원 AEO지원실 공인인증 컨설팅 선임연구원 2024.08 - 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연구실 연구용역 참여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참여 수입목재 합법벌채 관리 고도화 연구 2024, 산림청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운영사업 관련 법규검토, 2024, ㈜제이엔디케이 국제통상 전문자료 분석 및 동향 모니터링, 2024,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소재 ·부품 ·장비 통계구축 및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2단계 1차년도), 2024, 산업통상자원부 ● 주요업무 화물 전산 반·출입 관리 및 장치장 관련 수수료 징수·대납 ◦ 화물의 반출입 및 재고관리 등 ◦ 수입검사 물품에 대한 반출입 절차, 창고료 요율확인 고객지원 업무 - 지사별 민원, 우리 원 홈페이지 민원 등 전반적인 민원업무를 총괄 - 고객서비스 헌장, 민원처리규정 신규 제정 전자봉인 관리 - 관세청 전자봉인 용역사업 관리 임원들의 대내외적 활동 보좌 ◦ 부서별 일정 계획ㆍ관리ㆍ조정 - 집무실 및 임원실관리 및 관련 경비처리 등 수행 국가 AEO 지원사업 신규공인 진행 ◦ 22년도 항만공사 지원사업 2개업체 AEO신규공인 컨설팅 담당 - 여수광양항만공사 : 제이앤지엘에스(주), 남해해운 - 부산항만공사 : ㈜한타특수운송, 조은물류, 삼양리퍼 국가 기관등 연구용역 투입 ◦ 자료조사 및 행정관리 담당 - 산림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제이엔디케이, 산업통상자원부 |
연구진 소개
조 현 기
연구/전공분야 | 품목분류, FTA, 관세평가 |
---|---|
학력/경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회과학학사, 영문학사 2024.02 ~ 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부연구위원 2019.06 ~ 2023.08 관세법인 한주 책임관세사 2017.05 ~ 2019.06 다인합동관세사무소 관세사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참여 환경산업 해외진출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용역, 2018,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복합물류 인프라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017,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관세사 실무경력 품목분류 컨설팅 (의약품, 의료기기, 화학물질, 식품, 의류 등) FTA 활용·인증수출자 획득 컨설팅 FTA 원산지 검증 컨설팅 (외국계 제약사 등) 과세가격 결정방법 컨설팅 (특수관계자간 거래 등) 관세환급 컨설팅 (수탁가공무역 등) |
연구진 소개
정 대 환
연구/전공분야 | 국제물류, 해운항만 |
---|---|
학력/경력 | 중앙대학교 무역물류학박사 2024.02 ~ 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부연구위원 2023.07 ~ 2024.02 우체국물류지원단 전문위원 2022.08 ~ 2023.06 부산연구원 위촉연구위원 2018.09 ~ 2022.07 중앙대학교 동북아물류유통연구소 연구원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책임● 연구참여 2023년 산업단지 스마트 물류플랫폼 구축 및 운영사업, 2024,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시 항만연관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2023, 부산광역시 인천북항 통합 타당성 검토 및 운영체계 개선 연구용역, 2023, 인천항만공사 항만하역요율 준수를 위한 제도화 방안, 2022, 한국항만물류협회 2021년 수출입물류동향 연차보고 및 보세화물제도 연구, 2021, 관세청 한국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연구, 2021,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 평택항 발전방안 수립 용역, 2020, 평택시 항만인프라 경쟁력 평가지수 개발 용역, 20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신항 배후단지내 화물차 주차장 건립 및 운영 사전 조사 용역, 2019, 부산항만공사 항만배후단지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2018, 해양수산부 ● 연구논문 (KCI) 정대환·우수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컨테이너 터미널 내 시간당 Truck Turnaround Time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40권 4호, 2024 (KCI) 권민수·정대환, “머신러닝을 활용한 해운기업 파산 예측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9권 3호, 2024 (KCI) 정대환·이자연, “항만연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9권 1호, 2024 (KCI) 정대환·이자연, “국경 간 전자상거래 물류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연구”, 국제상학 제37권 4호, 2022 (박사학위논문) 정대환,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컨테이너 터미널 내 Truck Turnaround Time 예측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22 (KCI) 박소영·정대환·우수한,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중고선가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7권 1호, 2022 (KCI) 정대환·우수한, “북극항로 활용관점에서의 아시아 주요 항만 경쟁력 연구”, 국제상학 제36권 3호, 2021 (KCI) 정용수·정대환·박근식, “프레이트 포워딩 종사자들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5권 1호, 2020 (KCI) 이민우·정대환·박근식, “의왕ICD 컨테이너화물의 철도운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4권 4호, 2019 (석사학위논문) 정대환, “북극항로 상용화로 인한 주요 항만 경쟁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7 |
연구진 소개
박 슬 기
연구/전공분야 | 국제통상, 기후통상, 무역협정 |
---|---|
학력/경력 | 인하대학교 국제통상학 박사 2024.09~현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부연구위원 2022.08~2024.0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
주요 연구실적 | ● 연구참여 한·에콰도르 SECA 협상결과 영향평가(농업분야), 2024,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 시장 경쟁력 분석과 수출 다변화 연구, 202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과테말라의 한-중미 FTA 가입 영향평가, 2024, 농림축산식품부 2023년 OECD 농식품 분야 국제기구 업무 대응, 202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FTA 원산지규정 활용방안, 202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 부문 FTA특화 일반균형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202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FTA 이행에 따른 산업별 영향분석 및 중장기 FTA종합대책 수립, 2019, 경기도청 FTA 이후 교역구조 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2018, 산업통상자원부 ● 연구논문 (석사학위논문) 박슬기, “한중일 FTA 대비 각 국가의 FTA 관세인하 비교 분석”,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슬기, “국제무역 관점에서의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분석”, 인하대학교 (KCI) 박슬기·정인교·정석진,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경제적 파급영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25권 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23 (KCI) 임병호·박슬기·심창용,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식량자급률 영향”. 국제상학 제38권 3호, 한국국제상학회, 2023 (KCI) 정인교·유정호·임병호·박슬기, “국제통상 관점에서 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평가”, 무역학회지 제46권 6호, 한국무역학회, 2021 (KCI) 심창용·홍진영·박슬기, “CGE 모형을 이용한 AEO MRA 한국 수출 효과 분석: 한· 러 AEO MRA 를 중심으로”, 무역연구 제17권 5호, 한국무역연구원, 2021 (KCI) 박슬기·이상훈·박로운, “한국의 對아세안 소비재 수출경쟁력 실증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2권 8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KCI) 이준엽·최원익·박슬기, “글로벌생산네트워크의 변화추세 분석-사회망분석기법을 활용한 자동차 및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12권 2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SCI) Yoo, J. H., Park, S. K., & Cheong, I. K., “The Impact of COVID-19 and Korea's new southern policy on its global value chain”, Journal of Korea Trade, 제24권 8호, Korea Trade Research Association, 2020 (KCI) 이상훈·박슬기, “대학생의 경제성향 및 경제이해도에 관한 실증연구: 경기지역의 2-3 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1권 11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KCI) Han, H., Hong, J., & Park, S.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cosmetics industry in the ASEAN market”,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21 No.10, Asia Culture Academy of Incorporated Association, 2019 (KCI) 정인교·유정호·박슬기·위민, “미국의 대중국 견제구도와 파급영향”, 무역상무연구 제81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9 (KCI) 홍진영·박슬기. “보호무역주의의 확산과 미⋅ 중 통상갈등에 관한 연구”, 중국지역연구 제5권 1호, 중국지역학회, 2018 (KCI) 홍진영·박슬기, “한국 중소기업의 대아세안 해외직접판매 (역직구) 진출 전략”, 인문사회 21 제8권 4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